미국 홍콩 관세율 (2025년4월) 홍콩->미국 관세율은 중국 본토 기준으로 34%인가요? 저는 한국에서 '유럽생산(메이드인 프랑스,스페인,이태리
미국 홍콩 관세율 (2025년4월) 홍콩->미국 관세율은 중국 본토 기준으로 34%인가요? 저는 한국에서 '유럽생산(메이드인 프랑스,스페인,이태리
홍콩->미국 관세율은 중국 본토 기준으로 34%인가요? 저는 한국에서 '유럽생산(메이드인 프랑스,스페인,이태리 등등)'의 골동품을 수집하여 해외로 판매하는 사람입니다. 주된 구매자는 미국인입니다.제가 국내에서 업로드한 물건이 판매되면 우선 홍콩으로 보내진 후 홍콩센터에서 구매자의 국가로 보내는 방식인데요판매자 한국->홍콩(검수 후)->구매자 국가현재 관세율이 아래와 같이 변동됐다고 들었습니다.한국->미국 25%중국->미국 34%이 경우 제 물건이 미국 구매자에게 판매될때 홍콩을 거치게 되면 미국 구매자는 관세를 34% 부담하게 되는걸까요? 또는 관세율은 생산지에 따라 매기게되어 유럽관세율이 적용되나요?
홍콩을 경유해 미국으로 보내는 경우 미국 관세가 중국 본토 기준(34%)으로 적용되는지, 특히 유럽산 골동품을 한국에서 판매해 미국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상황에서의 관세 영향이 궁금하신 거죠?
홍콩 → 미국 수출 시 관세율은 "중국산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관세는 '제조국(원산지)' 기준으로 부과되며, 물건이 경유한 나라(홍콩)가 아니라 그 물건이 어디서 생산되었는지(예: 프랑스, 이탈리아 등)가 핵심입니다.
미국 세관(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은 물품이 최종적으로 제조된 국가의 원산지를 기준으로 관세를 부과합니다.
중국산 상품이 홍콩을 거쳐 미국에 들어오면 → 중국산으로 간주되어 고율 관세(최대 34%) 적용
유럽산 상품(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이 홍콩을 거쳐 미국으로 들어오면 유럽산으로 간주, 보통 0~5% 수준, 또는 무관세 (품목에 따라)결정됩니다.
유럽 원산지 기준으로 적용됨 → 중국산(34%) 적용
따라서, 미국 구매자가 부담하는 관세는 중국산(34%)이 아니라 유럽산 기준입니다.
홍콩은 단순 경유지(중계지)이므로, 관세율에 직접 영향 X
물품 포장 시 '원산지(Origin)' 표기 정확하게 해야 합니다.
예: “Made in France” “Origin: Italy” 등의 라벨, 송장 기재
홍콩 물류센터에서 '가공'이나 '리패키징'이 있다면, 미국 세관이 원산지 재판단할 수도 있으니 주의 필요
미국 HS코드(통관 코드)에 따라 세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골동품은 HS Code 9706 계열 → 대부분 무관세 가능성 높음
홍콩 경유 시 미국 구매자가 34% 관세 부담하나요?
아니요. 중국산이 아닌 유럽산이면 34% 적용되지 않음
‘제조국(원산지)’ 기준이며, 경유지(홍콩)는 무관
HS 코드에 따라 대부분 무관세 또는 낮은 관세 가능
필요하시면 미국 CBP 사이트 기준으로 해당 HS 코드 조회, 또는 송장 작성 예시도 드릴 수 있어요.
혹시 골동품 세부 카테고리(가구, 미술품, 도자기 등)도 알려주시면 더 정확히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