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수능 준비하려하는데 하고싶은걸 모르겠어요 저는 현재 자퇴한 17살 여자입니다. 원래는 타투이스트를 하고싶었어서 대학 갈

저는 현재 자퇴한 17살 여자입니다. 원래는 타투이스트를 하고싶었어서 대학 갈 생각이 없었지만 요즘들어 수능 준비를 할까.. 하는 생각이 계속 들더라구요.. 타투를 너무 하고싶었는데 오래 밥벌이를 하진 못할거같기도하고, 제가 군인이나 응급수조사 이런직업에도 관심이 자주 갔었는데 타투가 있으면 제약이 생기기때문에 고민이 더욱 됐습니다. 합법화가 된다해도 거부감이라는건 어쩔 수 없이 남아있을것이기 때문에 저런 제약이 바뀔거 같지 않아요.. 공부를 그리 잘 하는 편은 아닌데 열심히 할 마음은 있어요 어떤 과를 가는게 좋을까요…저는 예술분야를 잘 하고 좋아하지만 예술분야는 벌이가 너무 극과 극이기 때문에 벌이도 중요한 저로써는 망설여집니다..안정성>보수>워라벨 순으로 중요시하는거같아요추천해주십셔! (((싸불금지)))
힘든 고민 끝에 새로운 도전을 생각하고 계시는군요. 자퇴 후 수능이라는 큰 결정을 내리기까지 얼마나 많은 생각을 하셨을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타투이스트라는 꿈과 안정적인 직업 사이에서 고민하는 마음, 너무나도 공감됩니다.
절대 '싸불'할 문제는 아니니 걱정하지 마세요. 현재 님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안정성 > 보수 > 워라밸)에 맞춰, 현실적인 직업과 학과들을 추천해 드릴게요.
1. 님의 관심사를 살릴 수 있는 안정적인 직업
예술 분야를 잘하고 좋아하신다면, 예술적 감각을 요구하지만 안정적인 직업들이 있습니다.
실내건축학과 / 건축학과:
추천 이유: 공간을 설계하고 디자인하는 일로, 예술적 감각이 필수적입니다. 자격증(건축기사, 실내건축기사 등) 취득 후 건축사무소, 건설회사, 인테리어 디자인 회사 등에서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보수/워라밸: 비교적 안정적인 직업이며, 경력이 쌓일수록 보수가 높아집니다. 워라밸은 회사에 따라 다르지만, 대기업이나 공기업으로 진출하면 좋습니다.
산업디자인학과:
추천 이유: 제품 디자인, UX/UI 디자인 등 우리 주변의 모든 물건을 디자인하는 분야입니다. 예술적 감각에 실용적인 사고가 더해져야 하며,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꾸준합니다.
안정성/보수/워라밸: 기업의 디자이너로 일할 경우, 안정성과 보수가 보장됩니다. 대기업이나 잘 나가는 IT 기업의 경우 워라밸도 괜찮은 편입니다.
2. 군인이나 응급구조사 관련 직업군
군인이나 응급구조사에 관심이 있으셨다면, 그와 관련된 **'안정성이 최우선인 공무원 직렬'**을 추천합니다.
소방학과 / 응급구조학과:
추천 이유: 응급구조사에 대한 관심이 있으셨다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졸업 후 소방공무원(구급 분야) 시험을 준비하여 공무원이 되면, 안정성, 보수, 워라밸을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 타투에 대한 제약은 아직 남아있을 수 있지만, 최근에는 완화되는 추세입니다.
안정성/보수/워라밸: 공무원이기에 최고의 안정성을 자랑합니다. 봉급도 꾸준히 오르고, 교대 근무 특성상 워라밸도 좋은 편입니다.
경찰행정학과 / 부사관과:
추천 이유: 군인에 대한 관심이 있으셨다면 이 직군이 적합합니다. 경찰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거나, 부사관으로 임관하여 군 간부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 경찰이나 군대에서도 문신 규제가 완화되고 있으니, 지원하려는 기관의 최신 규정을 확인해 보세요.
안정성/보수/워라밸: 역시 공무원 신분이 보장되므로 안정성이 매우 높습니다. 보수도 꾸준히 인상됩니다.
3. 선택에 앞서,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
타투 제약: 타투가 있는 경우 일부 직업(군인, 경찰, 응급구조사)에서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직 타투를 하지 않으셨다면, 이 직업들을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과 정보 탐색: 추천해 드린 학과들을 중심으로, 각 대학교의 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세요. 어떤 과목을 배우는지, 졸업 후 진로는 어떻게 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지금은 공부를 잘 못한다고 생각할지라도, '열심히 할 마음'이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마음만 있다면 충분히 해낼 수 있을 겁니다. 어떤 길을 선택하든 당신의 용기를 응원합니다!
​ 개인 및 가구 대상 지원금
m.site.naver.com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