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우리나라야말로 세계에서 경제대국이다 한강의기적 뭐 대국이다 여우가 호랑이를 흉내내는 격. 1.우리가 잘 살 수 있는 모습은 이 정도까지가 아닌데 결국

1.우리가 잘 살 수 있는 모습은 이 정도까지가 아닌데 결국 뭐 살자네 저출산이나 각종 문제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 지금 현실을 볼 수 있죠.그 한강의 기적은 단기간에 성공이 될 수 있는거지 모든게 유지하지 못하지 않나 그런 생각이 들거든요?결국 여우가 호랑이를 흉내내는 거 아니었나 그렇게 생각하거든요?사실 경제,사회 뿐만 아니라 국방도 미군 없으면 안된다면서요.2.mz 2030에게 있어서 결국 내성적 성격과 우울이라는 모습 또한 mz들의 모습 아닌가요?결혼도 안하고 육아도 하기 싫고 솔직히 그런 모습이잖아요 지금이?3.이제 그닥 2030들이 열심히 산다?막 동기부여가 뿜뿜 나온다?그건 분야에서 잘하는 10명 중 2,3등까지의 이야기인거고나라 자체에서 봤을 때 각종 갈등도 너무 많고더이상의 나라를 잘살게할 동기부여가 전혀 없지 않나요?
남겨주신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경제 성장의 빛과 함께,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깊은 고민이 담겨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의 어려움과 국가에 대한 무력감에 대해 복합적인 감정을 느끼시는 듯합니다.1. '한강의 기적'과 지속 가능성단기간의 성장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는 않는다는 점에 공감합니다. 한국의 눈부신 경제 성장은 분명 대단한 성과였지만, 그 과정에서 나타난 부작용들이 지금의 사회적 문제들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은 많은 경제학자와 사회학자들이 제기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 성장의 그림자: 압축 성장의 과정에서 노동의 과부하, 경쟁 심화, 그리고 소득 불균형과 같은 문제들이 누적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열심히 일하면 잘 살 수 있다'는 희망이 있었지만, 이제는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들이 젊은 세대의 미래를 막고 있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습니다. * 지속 가능한 성장: '한강의 기적'이 성공적인 단거리 질주였다면, 이제는 **환경, 사회, 그리고 거버넌스(ESG)**를 고려한 장거리 마라톤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양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사회적 안정망, 그리고 세대 간의 형평성을 함께 고려하는 성장이 필요하다는 것이죠.2. MZ세대의 내성적 성향과 사회적 우울MZ세대가 겪는 내성적 성향이나 우울감은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측면이 큽니다. '결혼과 육아를 포기한다'는 현상은 개인의 취향을 넘어, 불안정한 고용 환경, 높은 집값, 그리고 과도한 경쟁 속에서 미래를 계획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 'N포 세대'의 등장: 연애, 결혼, 출산뿐만 아니라 내 집 마련, 인간관계 등 여러 가지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빗댄 용어인 **'N포 세대'**는 이러한 사회적 압박을 잘 보여줍니다. 개인의 의지 부족이라기보다는, 사회가 그들에게 충분한 기회와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일 수 있습니다. * 공정성 논란: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라는 기대가 무너지고, 아무리 노력해도 상위 계층으로 이동하기 어려운 현실은 젊은 세대에게 좌절감과 무기력함을 안겨줍니다.3. 동기부여와 희망의 부재열심히 살아도 보상이 불확실한 사회에서 개인의 동기부여가 꺾이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특히 말씀하신 대로, 상위 10%의 성공 사례만 부각되는 현실은 나머지 대다수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갈등 심화: 진보와 보수, 세대, 젠더, 지역 등 다양한 갈등은 우리 사회의 에너지를 소모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통합된 목표를 설정하고 함께 나아가야 할 동기 자체를 약화시킵니다. * 동기부여의 재정의: 이제 동기부여는 단순히 개인의 성공을 향한 '열심히'가 아니라,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믿음과 '함께'의 가치에서 찾아야 할지도 모릅니다. 개인의 노력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많아진 만큼, 사회 전체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남겨주신 의견들은 지금 우리 사회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질문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 성장이라는 거대한 목표를 달성한 뒤, 이제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고, 어떻게 함께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 jusik | 인포크링크
jusik님의 링크페이지를 구경해보세요
link.inpock.co.kr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