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스포츠의학 대학원 진학 고민 안녕하세요 저는 일반 체육학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스포츠의학

안녕하세요 저는 일반 체육학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스포츠의학 관련 대학원을 진학하는 것을 목표로 공부를 하는데 문득 학부 수준에서 스포츠재활, 스포츠의학 관련 과를 졸업하지 않으면 설령 대학원에 붙는다 해도  잘 적응하고 배울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을 등록하게 됐습니다.두 가지 옵션 중에 현실적이고, 앞으로 운동전문가가 되는데 더 나은 방향으로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1번 : 결국 대학원에 진학하더라도, 재활이나 스포츠의학 관련 과의 학부과정을 밟는 것이 훨씬 좋다. 2번 : 기초 전공지식(해부학, 생리학, 운동손상학 등)만 있으면 배우는데 큰 문제 없으니 붙으면 가라. 선배님들의 소중한 의견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체육학과 3학년이면 이제 슬슬 진로 고민이 가장 큰 시기네요. 글 읽으면서 “스포츠의학 대학원 → 운동 전문가”라는 목표가 분명하셔서 멋지다고 느꼈습니다
질문 주신 두 가지 옵션을 보면, 사실 정답은 한쪽으로 확 잘라 말하긴 어렵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말씀드리면 굳이 학부 전공을 다시 밟을 필요까지는 없다가 더 가까워요.
스포츠의학 대학원에서 필요한 기본 지식(해부학, 생리학, 운동손상학 등)은 학부 때 기초만 잘 잡아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습니다. 대학원 수업은 오히려 “응용·심화” 단계라, 학부 때 전공명이 꼭 스포츠재활이어야 하는 건 아니에요. 실제로 체육학과,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출신이 섞여 같이 공부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중요한 건 대학원 진학 전까지 기초를 얼마나 준비하느냐예요. 스스로 해부학·운동역학·영양학 등 기본 과목을 예습해 두면, 전공이 달라도 충분히 경쟁력 있습니다. 반대로 이런 기초 없이 “붙으면 가자!”는 태도라면, 초반에 적응이 힘들 수 있어요.
정리하자면, 제 의견은
1번처럼 학부를 갈아타는 건 시간·비용 대비 비효율적,
2번처럼 대학원에 도전하되, 기초 전공지식 보완은 꼭 선행하세요.
즉 “붙으면 가라, 대신 기초는 지금부터 탄탄히 다져라”가 현실적인 답입니다.
지금처럼 진지하게 고민하는 태도라면 충분히 좋은 전문가가 되실 수 있어요. 응원합니다! ✨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