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후반 물리치료과 입학 괜찮을까요 재입학이고 졸업하면 서른 넘어요학기 중에 어린 친구들 사이에서 적응할 자신도
20대 후반 물리치료과 입학 괜찮을까요 재입학이고 졸업하면 서른 넘어요학기 중에 어린 친구들 사이에서 적응할 자신도
재입학이고 졸업하면 서른 넘어요학기 중에 어린 친구들 사이에서 적응할 자신도 없구요…이게 맞나 싶가다도 뭐 해 먹고 살 게 없으니 자꾸 관심도 없던 쪽을 바라보게 되네요이런 경우가 많다는 건 알지만… 도저히 용기가 안 나서 올려봅니다괜찮을까요 ? 차라리 다른 자격증을 따서 취업을 준비해야 할지… 나이는 먹어가고 할 게 없네요

늦은 나이에 재입학을 고민하는 게 쉬운 결정이 아니라는 거, 충분히 이해돼요. 특히 20대 후반에 대학을 다시 다니면서 어린 친구들 사이에서 적응하는 게 걱정된다는 점도 공감돼요. 하지만 현실적인 부분과 앞으로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면, 물리치료과 입학이 나쁜 선택은 아닐 수 있어요.
물리치료사는 전문직이고, 평균적인 취업률이 높은 편이에요.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병원뿐만 아니라 요양 시설, 스포츠 분야, 재활 센터 등에서도 꾸준한 수요가 있어요. 즉, 졸업 후 취업 가능성이 높은 분야 중 하나예요.
20대 후반에 입학하면 졸업할 때 30대 초반이 되겠지만, 물리치료 업계에서는 30대 초반의 신입도 충분히 받아들여지는 연령이에요. 오히려 나이가 많을수록 신뢰감이 더해지는 직업이라, 환자와의 관계에서도 강점이 될 수 있어요.
분명 어린 학생들과 함께하는 게 부담될 수도 있지만, 나이가 많다고 해서 혼자 겉도는 경우는 드물어요. 오히려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이면 교수님이나 동기들도 인정해 줄 가능성이 커요. 그리고 대학에서 나이 많은 학생들이 흔히 있는 건 아니지만, 생각보다 적지 않아요.
만약 물리치료에 큰 관심이 없다면, 다른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 것도 방법이에요.
임상심리사, 직업상담사: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준비할 수 있고, 취업처도 다양한 편.
코딩/IT 관련 자격증: 비교적 빠르게 배워서 프리랜서나 직장 취업 가능.
의료·보건 행정 관련 자격증: 병원 행정직, 건강보험 심사 등도 안정적인 길.
전문 트레이너, 필라테스 강사: 물리치료와 유사한 분야지만 학위 없이도 가능.
"물리치료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도전할 만한 선택이다."
"정말 관심이 없고, 단순히 취업만을 위해 고민하는 거라면 다른 현실적인 길을 고려해 보자."
무엇을 선택하든, 가장 중요한 건 "이 길이 내게 맞을까?" 하는 부분이에요. 지금 불안한 건 당연한 거고, 선택한 후에 후회 없이 해내겠다는 마음가짐이 중요해요. 어떤 길을 선택하든, 충분히 가능성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