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조선해양공학과 현재 고1이고 제가 조선해양공학과를가서 싶은데 선택과목을 어떻게 해야될까요?? 원래는 생명쪽으로
현재 고1이고 제가 조선해양공학과를가서 싶은데 선택과목을 어떻게 해야될까요?? 원래는 생명쪽으로 가고 싶어서 생명을 많이 듣긴했어요.. 지구과학이랑 기하를 안 들어요.. 현재 물화생 현대사회와 윤리를 일학기때하고 2학기땐 똑같이 물화생 윤사 햇는데 안 좋은가요..??
조선해양공학과 진학을 희망하시는군요. 고1 때 생명과학 위주로 선택했다 하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지금부터라도 조선해양공학과에 필요한 과목들을 잘 선택하면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조선해양공학과는 배와 해양 구조물을 설계하고 만드는 학문으로, 물리와 수학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물리학과 관련된 과목, 그리고 심화 수학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등학교 추천 선택 과목
물리학Ⅱ
필수 과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해양공학의 기본 원리인 힘, 역학, 유체역학 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물리학Ⅰ만 들었더라도, 물리학Ⅱ를 반드시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하
선박의 곡선 형태나 3D 모델링 등을 다룰 때 기하학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공과대학에서 기하를 이수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므로, 듣는 것이 좋습니다.
화학Ⅰ, 화학Ⅱ
선박에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이나 부식 방지 등을 공부할 때 화학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화학Ⅱ까지 듣는다면 심화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전공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정보
코딩(프로그래밍) 능력은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선박 설계 소프트웨어 등을 다룰 때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정보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현재 선택 과목에 대한 조언
현재 1학년 때 물리학Ⅰ과 화학Ⅰ, 생명과학Ⅰ을 이수하고 있는 것은 좋은 선택입니다. 다만, 생명과학은 조선해양공학과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공학 분야에서 생명과학 지식이 전혀 필요 없는 것은 아니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회 교과 (현대사회와 윤리, 윤리와 사상 등)**를 듣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공학 윤리 등 사회와의 연관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과 기하를 안 들은 것은 조금 아쉽지만, 2학년 때부터라도 기하를 선택할 수 있다면 듣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지구과학은 필수는 아니지만, 해양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향후 계획
2학년 때부터는 물리학Ⅱ, 기하를 꼭 선택하세요. 만약 학교 사정상 선택이 어렵다면, 온라인 공동 교육 과정 등을 활용하여 이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교과 세특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을 잘 관리하세요. 물리학이나 수학 관련 수업에서 조선해양공학과와 관련된 주제로 발표하거나 탐구 활동을 한다면, 진로에 대한 적극성과 역량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력'이나 '유체역학'을 배우면서 선박의 원리를 탐구하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의 활동을 해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지금부터라도 물리학Ⅱ, 기하를 선택하고 관련 활동을 열심히 한다면 조선해양공학과 진학에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위주로 선택했다는 점을 너무 염려하지 마시고, 앞으로의 선택과 활동에 집중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