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해외로 물건을 판매하면 세금 내나요? 이베이로 해외로 물건을 자주 판매하는데요우체국에서 29일이후로 정책이 바뀌어 세금을 낼수도있다고
이베이로 해외로 물건을 자주 판매하는데요우체국에서 29일이후로 정책이 바뀌어 세금을 낼수도있다고 하던데진짠가요?
해외 판매 시 세금과 관련된 여러 부분이 헷갈릴 수 있는데요, 정리해 드릴게요!
1. 우체국 배송 관련: “29일 이후 세금” 뉴스는 사실일까요?
미국 정부 기준의 변경으로 알려진 내용은, 2025년 8월 29일부터 모든 국가 대상 De Minimis(소액 면세 한도) 기준을 폐지한다는 것입니다.
즉, 기존에는 일정 금액 이하(예: 800달러 이하)에 대해서는 관세 면제였지만, 앞으로는 금액과 무관하게 모든 물품에 관세 부과될 수 있게 된다는 정책입니다
한국 우체국 자체 규정 변경과는 무관합니다. 다만 2024년 12월부터, 관세 및 우체국 통관절차대행 수수료를 사전에 내야만 국제 배송이 가능하도록 절차는 강화됐습니다
2. 관세·부가가치세(VAT)는 언제 부과되나요?
한국 수입 기준을 보면, CIF 기준 150달러 초과 시 관세와 10%의 VAT가 부과됩니다
간이수입신고를 통해, 우편물 자체에 부착된 신고서로 과세 여부를 판단해 배송하며, 수취인이 세금을 납부한 뒤 수령하게 됩니다
3. 정리표: 어떤 조건에서 세금이 발생할까요?
조건
세금 부과
설명
미국 수입 시 8월 29일 이후, 금액 상관 없이
De Minimis 기준 사라짐
한국 수입 시 CIF 150달러 초과
관세 + 10% VAT 부과
한국 수입 시 CIF 150달러 이하
아니요
면세 대상
우체국 통관절차대행 수수료
있음
사전 납부 필요
4. eBay 판매 시 추가 비용은?
eBay International Fee: 한국 주소 등록한 셀러는 **1.45%**의 수수료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VAT 관련: EU 등 일부 국가에서는 VAT 등록이 필요할 수 있고, eBay 시스템에서 자동 징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론-
우체국에서 29일 이후 세금을 낸다는 것은 미국 수입 기준 정책 변화 이야기며, 국내 배송 기준은 아닙니다.
다만 한국으로 수입할 때는 CIF 150달러 초과 시 세금이 부과되고, 우체국 배송 시 수수료 선납이 필요합니다.
eBay 판매 시에는 플랫폼 수수료 외에도 통관 세금, VAT, 국가별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답변이 도움 되셧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