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원 vs 사범대 윤리교사가 되고 싶습니다. 교육에 관심 있는 만큼 철학에도 관심이 많기도
윤리교사가 되고 싶습니다. 교육에 관심 있는 만큼 철학에도 관심이 많기도 하고, 인서울 욕심도 있어서 철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서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습니다. 서울대 갈 성적이 안 돼서 청주 교원대에 4년동안 박혀있거나, 국민대 혹은 부산대에 만족하기 싫다는 게 정확할 거 같네요.근데 주변에서 대학원에 대해 좋게 바라보지만은 않기도 하고, 결론은 윤리교사인데 굳이 그렇게 돌아가야 하냐는 말도 들어서 교육대학원이랑 사범대중에 고민됩니다.석사를 따며 걸리는 시간적 비효율성은 어차피 철학과 4년동안 노는 것도 아니고, 설령 학부 때 논다고 해도 그건 사범대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서 괜찮은데, 가장 고민되는 지점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게 어렵지는 않을까입니다. 아무래도 대학원을 가게 되면 지금 인서울 욕심처럼 좋은 대학원을 가고 싶다는 욕심도 생길 거고(서울대 혹은 고려대 등등), 만약 그러지 못했을 때 학벌 때문에 다시 도전하며 시간 낭비하거나, 적당히 타협했다가 후회하지 않을까라는 고민이 듭니다.서울대 혹은 고려대 등 높은 학벌의 교육대학원을 진학하는 게 그만큼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아니면 욕심을 내려놓고 그냥 사범대로 진학하는 게 나을까요?
짧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교육대학원: * 장점: 철학 전공을 하면서 교사 자격증을 딸 수 있고, 학벌 욕심을 채울 수 있습니다. * 단점: 경쟁률이 높고, 합격 보장이 없으며, 학벌에 대한 고민이 계속될 수 있습니다. * 사범대: * 장점: 교사라는 목표에 가장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지 못할 수도 있고, 철학에 대한 깊이 있는 공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교육대학원 진학의 현실적인 어려움 * 높은 경쟁률: 명문대 교육대학원은 교직 이수자, 현직 교사들도 많이 지원해 경쟁이 치열합니다. * 교원 자격증 취득: 입학 후에도 전공 학점과 교직 과목 학점을 이수해야 하며, 졸업 후 자격증이 나옵니다. * 시간과 비용: 학부 4년 외에 대학원 2년 이상을 더 투자해야 합니다.결론교사라는 목표가 가장 중요하다면 사범대 진학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철학에 대한 깊은 공부와 학벌 욕심이 크다면 철학과 졸업 후 교육대학원 진학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다만, 교육대학원 진학이 쉬운 길은 아니며, 원하는 대학원에 합격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어떤 길을 선택하든 본인의 목표와 가치관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