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경희대 서울캠 국제캠 동아리 중앙동아리가 캠퍼스 각각 따로 있는 건 아는데 국제캠 다녀도 서울캠
중앙동아리가 캠퍼스 각각 따로 있는 건 아는데 국제캠 다녀도 서울캠 동아리에 들어갈 수 있는건가요??
경희대학교의 경우, 서울캠퍼스와 국제캠퍼스 중앙동아리는 원칙적으로 각 캠퍼스 소속 학생들만 가입하여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캠퍼스별로 동아리연합회가 따로 존재하고, 등록된 동아리의 관리 및 지원도 각 캠퍼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캠퍼스별 동아리 운영의 기본 원칙
독립적인 운영: 서울캠퍼스 중앙동아리와 국제캠퍼스 중앙동아리는 별개의 단체로 운영됩니다. 각각의 동아리연합회에 등록되어 있으며, 활동 공간, 예산 지원 등도 각 캠퍼스에서 받습니다.
물리적 거리: 두 캠퍼스 간의 물리적인 거리(꽤 멀죠!) 때문에 정기적인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주 1회 또는 주 2회 모임이 있다면 통학 자체가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활동 공간: 동아리방이나 주요 모임 장소가 해당 캠퍼스에 집중되어 있어, 다른 캠퍼스 학생이 꾸준히 참여하기 어렵습니다.
예외적인 경우 및 고려 사항
하지만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참여가 가능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연합 동아리 또는 연합 활동:
간혹 두 캠퍼스 동아리가 연합하여 활동하거나 특정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는 경우는 있을 수 있습니다.
혹은 아예 캠퍼스 구분이 없는 대외 연합 동아리 (대학연합동아리)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경우, 경희대 학생이라면 캠퍼스 구분 없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비공식적 참여/교류:
공식적으로 가입은 어렵지만, 특정 동아리 활동에 비공식적으로 교류 차원에서 참여하는 경우는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동아리 자체의 재량에 달려있으며, 정식 회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학내 동아리 규정 확인:
아주 드물게 특정 동아리나 학과 특성상 다른 캠퍼스 학생의 참여를 허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니, 궁금한 동아리가 있다면 해당 동아리에 직접 문의하거나, 학교 홈페이지의 '동아리연합회' 공지사항 또는 규정을 확인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결론적으로, 국제캠퍼스 학생이 서울캠퍼스 중앙동아리에 정식 회원으로 가입하여 꾸준히 활동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으며 현실적인 제약이 큽니다. 하지만 관심 있는 분야의 캠퍼스 연합 동아리를 찾아보거나, 대외 연합 동아리에 참여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