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병원 응급실에 횟수 제한이 있나요? 아버지가 일을 하시다가 눈 윗쪽을 다치셔서 사정상 시간이 늦어 응급실을
아버지가 일을 하시다가 눈 윗쪽을 다치셔서 사정상 시간이 늦어 응급실을 갔는데 큰 상처는 아니고 외과 선생님도 안계서서 파상풍 주사랑 소독 정도만 하고 내일 외과 선생님 계시니까 다시 오라고 하더군요 큰 상처가는 아니지만 아버지가 걱정 되셨는지 다시 가보고 싶다고 하셨는데 아버지가 또 일때문에 늦으셔서 응급실로 갔습니다. 근데 신경외과 선생님이 오셔서 진료를 보시더라구요 그랬는데 "왜 응급실을 두번 오느냐 응급실은 한번만 오는곳이다. 다른 사람들은 병원 올거면 다 휴가내고 일 빼고 온다" 엄청 꼽을 주더군요 그래서 저는 어제 의사선생님께서 외과 선생님이 없으니까 오늘 와보라고 했고 그리고 아버지가 상처는 걱정 되는데 하시는 일이 갑자기 쉴수 없는 상황이라 어쩔수 없이 응급실에 온거다라고 차근차근 말씀드렸는데 그래도 안된단 한번만 와야 한다 다른 사람 다 그렇게 온다 이런식으로 오시면 안된다고 계속 그런식으로 말씀을 하셔서 어이가 없어서 따지려다가 그냥 또 소독받고 나왔습니다.작은 상처로 응급실에 온게 잘했다는 건 아니지만 원래 그렇게 응급실 두번 왔다고 사람 말 자르면서 뭐라 하나요? 횟수 제한이 있나요?
1. 응급실 방문 횟수 제한?
법적, 제도적으로 응급실 방문 횟수에 대한 엄격한 제한은 없습니다.
응급실은 말 그대로 응급 상황을 즉시 진료하는 곳이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다시 방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응급실은 제한된 자원을 사용하는 곳이라, 불필요한 반복 방문은 병원 운영 측면에서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2. 의료진 반응이 그랬던 이유
병원 응급실은 응급환자가 많고, 의료진이 매우 바쁜 환경입니다.
같은 환자가 자주 반복 방문하면, 의료진 입장에서는
비응급 상황에서 자원을 낭비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고
다른 중증 환자 진료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이유가 환자나 보호자에게 불친절한 태도를 정당화하지는 않습니다.
3. 올바른 대처법
응급실 방문 시 상황과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게 중요합니다.
특히 ‘어제 의사가 다시 오라고 했고, 아버지가 일이 있어 부득이 다시 왔다’고 설명하신 건 매우 적절했습니다.
의료진 태도가 불친절했을 때는 병원 고객지원센터나 진료과장에게 정중하게 민원을 제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상처 치료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면, 외래 진료 예약을 잡아 꾸준히 진료받는 게 좋습니다.
4.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외과 진료가 가능한 일반 진료시간에 방문하여 상처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응급실은 진료가 불가능한 시간이나 긴급 상황에만 이용하는 것이 병원 시스템에 도움이 됩니다.
만약 응급실 방문이 불가피할 때는, 방문 목적과 경위를 상세히 알리고 정중하게 대화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요약
내용
설명
응급실 방문 횟수 제한
법적으로 없음, 반복 방문 가능
의료진 불친절 이유
업무 과부하, 자원 한정, 스트레스 등
환자/보호자 대처법
상황 설명, 정중한 의사소통, 필요 시 병원에 민원 접수
치료 권장 방법
외과 일반 진료시간에 방문해 꾸준히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