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보증금 월세 제가 200/42 2024년 06월 20일에 선불로 들어왔습니다월세 밀린거 없습니다 그러면
제가 200/42 2024년 06월 20일에 선불로 들어왔습니다월세 밀린거 없습니다 그러면 제가 2025년 07월 12일에 방을 빼는데요 그럴경우 보증금은 얼마 받는건가요?
음, 제공해주신 정보만으로는 정확히 얼마의 보증금을 돌려받으시는지 알 수 없습니다. 몇 가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계약 기간: 월세를 선불로 내신 것은 알겠지만, 최초 계약 기간이 얼마였는지가 중요합니다. (예: 1년 계약, 2년 계약 등)
계약 만료 여부:
만약 계약 기간이 2025년 6월 19일에 만료되었고, 그 이후로 별도의 계약 연장 없이 월세를 계속 내며 거주하시다가 7월 12일에 나가시는 경우라면, 집주인에게 미리 계약 해지 의사를 통보하셨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임대차 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된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지 계약 해지를 통보할 수 있고, 통보일로부터 3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도 월세는 3개월치까지 지불해야 할 의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상황 가정 (계약 기간이 1년이고 묵시적 갱신이 된 경우):
2024년 6월 20일 입주 (선불 월세)
2025년 6월 19일 계약 만료 (1년 계약 시)
이후 묵시적 갱신으로 판단될 가능성 높음.
가장 중요한 점은 현재 집주인과의 소통입니다.
질문자님께서 2025년 7월 12일에 방을 뺀다고 하셨는데, 이것이 집주인과 합의된 날짜인지, 아니면 질문자님께서 일방적으로 정하신 날짜인지가 중요합니다.
가능한 시나리오 및 보증금 계산에 필요한 추가 정보 요청:
최초 계약 기간이 몇 년이었나요? (예: 1년, 2년)
집주인에게 방을 빼겠다고 언제 통보하셨나요? (정확한 날짜가 중요합니다.)
집주인이 7월 12일에 나가는 것에 동의했나요?
이 정보들이 있어야 정확한 보증금 반환액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좀더 구체적이 법률자문을 원하신다면 계약서등을 복사하시여 국가에서 운영하는 무료법률구조공단이라고 있음. 방문, 전화상담 모두 무료이며 상담사가 변호사로 알고 있음
위 내용을 잘 정리하시여 계약서등을 첨부하여 상담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