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안배우고 스페인어나 러시아어 배우면 학교에서 일본어 안배우고 제2외국어 선택과목으로 스페인어나 불어 혹은 러시아어 배우게
학교에서 일본어 안배우고 제2외국어 선택과목으로 스페인어나 불어 혹은 러시아어 배우게 시킨다면 애들 어려워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학생들이 처음에는 다소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충분히 극복 가능하며,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얻는 이점도 많습니다.
어떤 언어든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는 고유의 어려움이 따릅니다. 특히 한국어 화자에게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습니다.
- 일본어: 한국어와 어순(주어-목적어-동사)이 같고 문법 구조가 유사하여 상대적으로 배우기 쉽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자어의 영향도 있어 어휘 학습에 유리한 점도 있습니다.
- 스페인어/프랑스어: 이 언어들은 라틴어에서 파생된 로망스어군에 속합니다.
- 발음: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들이 있어 초기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문법: 동사 변화(시제, 인칭에 따른 활용), 성(남성/여성 명사), 수(단수/복수) 일치 등 한국어에는 없는 문법 개념들이 많아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어휘: 유럽 언어들과 어휘적 유사성이 있어 영어 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러시아어: 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합니다.
- 문자: 새로운 문자 체계를 익혀야 하는 것이 가장 큰 초기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 문법: 격변화(명사, 대명사, 형용사가 문장 내 역할에 따라 형태가 변함)가 매우 복잡하여 학습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
- 발음: 강세와 모음 변화 등 한국어에 없는 발음 규칙이 많습니다.
학교에서 스페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를 제2외국어로 도입한다면, 학생들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중요합니다.
- 전문 교사 확보: 해당 언어를 전문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이 매우 중요합니다.
- 체계적인 교육과정: 초급 단계부터 학생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꾸준히 학습할 수 있도록 잘 설계된 교육과정이 필요합니다.
- 다양한 학습 자료: 교과서 외에도 영상, 오디오, 온라인 자료 등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언어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 학생들의 동기 부여: 언어 학습의 중요성과 해당 언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 많은 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로 일본어나 중국어를 주로 선택하고 있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언어를 개설하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초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와 같은 언어를 배우는 것은 학생들에게 매우 값진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 넓은 국제적 감각 함양: 일본어 외의 다양한 언어를 배우면서 더 넓은 세계관과 국제적 감각을 키울 수 있습니다.
- 문화적 이해 증진: 해당 언어권의 역사, 문화,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 진로 선택의 폭 확장: 특정 지역 전문가, 외교관, 국제 기구 종사자 등 다양한 진로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뇌 발달 및 인지 능력 향상: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과정은 뇌 기능을 활성화하고 문제 해결 능력, 창의력 등 전반적인 인지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물론 처음에는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충분한 지원과 동기 부여가 있다면 학생들이 새로운 언어를 통해 성장하고 발전하는 멋진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님의 이러한 고민은 학생들의 교육 환경에 대한 깊은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더욱 의미 있다고 느껴집니다.